경제
-
2025 대선 후보3인 부동산 정책 비교경제 2025. 6. 1. 22:12
1. 부동산, 대선에서 조용하지만 가장 결정적인 변수대통령이 바뀌면 가장 먼저 흔들리는 시장은 부동산이다. 통화정책처럼 느리게 반응하는 자산과 달리, 부동산은 정책 방향 하나에 따라 기대심리와 자금 흐름이 즉각 움직인다. 그래서 대선 국면에서 시장은 후보의 말보다 "철학"을 읽는다. 공급이냐 규제냐, 개입이냐 자율이냐. 이번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특히 이번 후보들의 공약은 하나같이 비슷해 보인다. 공급 확대, 세금 완화, 주거복지. 키워드는 반복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결이 다르다. 시장이 반응하는 건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그 약속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다. 이번 글에서는 각 후보의 공식 부동산 정책을 ①공급 방식, ②세금 기조, ③실거주·투기 구분, ④시장 개입 수준의 네 가지 기준으로 정리..
-
이재명이 당선되면,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경제 2025. 6. 1. 21:35
1. 대선이 끝나면 부동산이 먼저 반응하는 이유대통령이 바뀌면 부동산이 먼저 움직인다. 이유는 간단하다. 부동산 시장은 ‘정책’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대출 규제, 세금, 공급 계획, 임대차법 등 정책 하나하나가 가격과 거래량을 좌우한다. 특히 이번처럼 이재명 후보처럼 “부동산·지주사·상속세”를 주요 키워드로 내세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시장은 그 기대를 선반영한다.부동산 전문가 유튜브 와 에선 “이재명이 당선되면 지주회사 정책은 물론, 실거주 중심 부동산 정책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시장의 구조 자체가 바뀔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출처: 구해줘월부, 2025.05 / 경제적 본능 채상욱, 2025.05】.이 글에서는 지주사 주가와 상속세, 실거주 정책이 어떻게 부동산 시장의..
-
주식을 한다면 채권도 꼭!!! 같이 해야 해요 (3)경제 2025. 5. 27. 00:26
이 글은 투자에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한 난이도로 작성되었어요. 시리즈물 3편 중 3편에 해당하니, 아직 안 보신 분들은 1편부터 읽어주세요 아직 1편을 안읽었다면?1편 먼저 읽으러 가기 링크 앞서 1편과 2편을 모두 읽고 오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채권을 실제로 사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증권앱 (한투, 키움, 토스 등) 대부분의 어플에서 미국 국채를 거래할 수 있어요 1. 채권은 직접 사는 게 좋을까요, ETF가 좋을까요?채권에 투자하려면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어요. 하나는 직접 채권을 사는 것, 다른 하나는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해 간접 투자하는 것이에요.두 방식은 구조도 다르고, 장단점도 확실히 달라요. 1.1. 먼저 직접 매수는 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개별 채권을 증권사나 은행을 통해 직접..
-
주식을 한다면 채권도 꼭!!! 같이 해야해요 (2)경제 2025. 5. 27. 00:04
이 글은 투자에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한 난이도로 작성되었어요. 시리즈물 3편 중 2편에 해당하니, 아직 안 보신 분들은 1편부터 읽어주세요 아직 1편을 안읽었다면?1편 먼저 읽으러 가기 링크 1. 10년짜리 채권을 중도에 팔아서 돈 버는 법 채권은 만기까지 들고 가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안정적인 자산이에요. 특히 그중에서도 미국 국채는 미국이 망하지 않는 이상 원금과 이자를 보장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안전자산이죠. 하지만 꼭 만기까지 들고 가지 않아도, 중간에 되팔아서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인 거 알고 계셨나요? 그 핵심은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에 있어요.자, 1편에서 앞서 배운 대로,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은 올라요.그렇다면 지금처럼 금리가 높을 때 10년짜리 미국채를 미리 사두고..
-
주식을 한다면 채권도 꼭!!! 같이 해야 해요 (1)경제 2025. 5. 26. 23:45
위 글은 투자에 입문하시는 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작성되었어요. 시리즈물로 연재했으니 꼭 3편까지 전부 읽어주세요 1. 채권이 뭐냐고요? '돈을 빌려주고 이자 받는 것'채권, 말만 들으면 뭔지 머리가 참 아프죠? 채권은 사실 아주 간단해요."정부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약속한 날짜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투자"예요. 예를 들어 볼게요.미국 정부가 “1년 후에 10,000원을 줄게!”라고 약속한 채권이 있어요. 근데 이 채권의 이자율이 3%라면,나는 이 채권을 약 9,700원에 사고,1년 후에 10,000원을 돌려받는 거예요. 즉, 미리 할인된 가격에 사서, 나중에 정해진 금액을 받는 거죠.그 차액이 바로 이자 수익이에요. 채권이란 간단히 말해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이자와 원금을 받는 투..
-
2025년 5월, 지금은 채권 투자 타이밍이다경제 2025. 5. 21. 00:03
1. 2025년 5월, 지금은 채권 투자 타이밍이다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은 떨어진다. 이건 채권의 가장 기초적인 원리다.반대로, 금리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채권 가격은 급등하게 된다.그리고 지금이 그 '전환점'에 있다. 2024년 기준 미국 연방기준금리는 약 5.25%로, 역사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연준(Fed)은 2025년 중반 이후부터 금리 인하 사이클에 들어갈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시장금리 또한 이에 선반영되어 조금씩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채권은 시장금리와 가격이 반비례 관계를 가지므로, 지금처럼 시장금리가 고점에 있을 때가 바로 채권 가격이 가장 낮은 시기다. 즉, 지금 채권을 매수하면 ‘저점에서 사는 투자’를 할 수 있는 거의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2020년 코로나 위기 ..
-
[기업분석] 팔란티어, 트럼프가 대놓고 밀어주는 2025년 주식경제 2025. 5. 17. 22:01
1. 팔란티어, 왜 이토록 주목받는가?팔란티어(Palantir), 뭐하는 회사길래 요즘 이렇게 주가가 오르고 있는걸까? 팔란티어는 쉽게 말하면 정부 전용 데이터 플랫폼 회사라고 보면 된다. FBI, CIA, 국방부 같은 기관이 팔란티어 소프트웨어로 전쟁 상황을 분석하고, 범죄를 추적하고, 예산을 관리한다. 한마디로 "미국 정부의 두뇌" 같은 역할을 하는 회사다. 근데 최근 1~2년 사이에 이 회사가 완전히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유는 딱 하나, "돈을 진짜 잘 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2년 사이에 순이익이 무려 5만% 이상 올랐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이 눈을 번쩍 뜬 거다. 매출도 50% 이상이 정부에서 나오는 안정적인 구조다. 그러다 보니 "이거 혹시 진짜 앞으로 잘 나갈 회사 아냐?"라는 얘..
-
테슬라, 2025년 6월 로보택시 공개 전에 빨리 사야 합니다경제 2025. 5. 16. 22:36
2025년 6월, 전 세계 투자자의 시선이 다시 테슬라(Tesla)로 향하고 있다. 이유는 단 하나. 로보택시 공개 일정이 확정되었기 때문이다. 고전하던 테슬라의 주가는 이미 움직이기 시작했고, 그 배경에는 단순한 기술 기대감 이상의 요소가 얽혀 있다.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주가 구조, 로보택시가 가진 전략적 의미,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 꼭 주의 깊게 봐야 할 지점을 살펴보자 “테슬라는 실적보다 상상력을 파는 기업이다. 그리고 지금, 상상력은 다시 증폭되고 있다.” 1. 테슬라 주가, 변동성이 유독 심한 이유는? 테슬라 주가는 흔히 말하는 ‘이성적 주가 흐름’과 거리가 멀다. 실적·가치 기반보다는 ‘기대’, ‘스토리’, ‘전망’이 주가를 주도한다. 특히 로보택시처럼 신사업이 가시화되는 순간, 주가는..